OTT 플랫폼 비교 및 분석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애플TV, 디즈니 플러스"
OTT(over-the-top) 플랫폼은 미디어를 소비하는 방식을 변화시켜 우리가 좋아하는 TV 쇼, 영화, 드라마, 스포츠, 애니메이션등을 온디맨드 방식으로 그리고 집에서 편안하게 액세스 할 수 있게 해주고 있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했는데요. 현재는 너무나 많은 OTT 플랫폼이 있으며, 각각 추구하는 형태나 무엇보다 서비스하는 작품들이 각양각색이라 나에게 어떤 플랫폼의 서비스가 가장 적합한지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대표적인 OTT플랫폼인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쿠팡 플레이, 애플 TV, 디즈니 플러스"의 이용료와 약관을 살펴보고, 각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은 물론 대표작들까지 집중 조명할 예정입니다.
첫 번째 OTT 플랫폼 : 넷플릭스 (Netflix)
넷플릭스 이용 요금 :
- 광고형 베이식 : 월 5,500원 (동시 접속 1명, HD로 시청 가능)
- 베이식 : 월 9,500원 (동시 접속 1명, HD로 시청 가능)
- 스탠더드 : 월 13,500원 (동시 접속 2명, 풀 HD로 시청 가능)
- 프리미엄 : 월 17,000원 (동시 접속 4명, UHD로 시청 가능)
참고 : 요즘 넷플릭스는 한집에 살지 않는 경우 계정 공유시 추가 요금을 부과하겠다며, 단속을 본격화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해외에서는 이미 적용 중이고, 조만간 한국도 변경될 예정으로 보입니다. 시청자는 주 시청 장소를 설정해야 하며, 만약 계정을 공유할 것이라면 2개의 보조 계정 설정이 허용이 되나 추가 요금을 결제해야 한다고 합니다.
넷플릭스 (Netflix)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프로그래밍과 다른 네트워크의 라이선스 콘텐츠를 포함한 방대한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들은 190개 이상의 국가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특히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콘셉트로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어 다음에 또 어떤 작품이 나올지 시청자들에게 궁금증과 기대를 갖게 합니다. 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쉽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따라 개인화된 작품 추천을 제공하는 것도 장점입니다.
- 단점 : 국내 TV 방송 프로그램이 많이 없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TV 예능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 프로그램등은 볼 수 없으며, 한국 고전 작품들 또한 대부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조만간 계정 공유가 금지될 것이라는 점인데요. 이로 인해 한국 사용자는 많은 이탈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후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넷플릭스 대표 작품 : 오징어 게임, 킹덤, D.P, 더 글로리, 지금 우리 학교는, 스위트홈, 마이 네임, 소년 심판, 지옥, 기묘한 이야기, 승리호, 돈 룩 업, 종이의 집, 솔로지옥 등
두 번째 OTT 플랫폼 : 티빙 (Tving)
티빙 이용 요금 :
- 베이식 : 월 7,900원, 연 71,000원 (동시 시청 1명, 720p 화질)
- 스탠더드 : 월 10,900원, 연 98,000원 (동시 시청 2명, 1080p 화질)
- 프리미엄 : 월 13,900원, 연 125,000원 (동시 시청 4명, 1080p + 4K 화질(일부 콘텐츠)
Tving 요금 결제 시 꼭 주의하세요 : Tving은 인앱 결제(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요금을 결제할 경우 금액이 올라갑니다. 이유는 바로 인앱 결제 시 발생하는 수수료 때문인데요. 이 수수료를 모두 소비자에게 부담시키는 것이죠.. 그래서 인앱 결제를 하면 베이식은 9,000원, 스탠더드 12,500원, 프리미엄 16,000원으로 기존 요금제보다 훨씬 높은 금액이 부담됩니다. 혹시나 지금 Tving을 이용 중이시라면 "티빙-> 프로필-> 이용권"에서 현재 사용 중인 요금제를 얼마에 이용하고 있는지 꼭 한번 체크해 보시고, 만약 인앱 결제로 인한 요금이 적용 중이라면 바로 끊고, 다음 달에 PC나 스마트 TV를 통해 다시 결제해 보세요!
티빙 (Tving)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티빙은 한국 드라마, 버라이어티 쇼, 그리고 라이브 스포츠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한국에서 이용 가능하며, 한국어와 영어로 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사용하기 쉽게 되어 있고, 서비스 시청 기록에 따라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합니다. 가장 큰 장점은 잘 찾아보면 오래된 고전 작품들도 많이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Tving은 예전 보지 못했던 명작들을 찾아서 보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 단점 : 티빙은 한국에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나라에서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영상 처음 시작에 로딩이 다른 플랫폼에 비해 조금 긴 편입니다.
티빙 대표 작품 : 술꾼도시여자들, 아일랜드, 몸값, 환승연애, 서복, 해피니스, 유미의 세포들, 마녀사냥 2022, 마녀식당으로 오세요, 아이돌 받아쓰기 대회 등
세 번째 OTT 플랫폼 : 웨이브 (Wavve)
웨이브 이용 요금 :
- 베이식 : 월 7,900원 (동시 접속 1명, 720p 화질)
- 스탠더드 : 월 10,900원 (동시 접속 2명, 1080p FHD로 화질)
- 프리미엄 : 월 13,900원 (동시 접속 4명, 2160p UHD로 화질)
참고 : 웨이브에서는 다른 OTT 서비스들과는 다르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플로(FLO), 벅스(Bugs)"와 별도의 제휴 이용권 요금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군인 장병들에게 문화 혜택을 주기 위한 'KB나라사랑카드'의 제휴 이용권도 있습니다. 다만 이 결합 상품들은 베이식만 가능해서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혹시나 플로, 벅스를 이용 중이시고, 웨이브 베이식을 요금제를 사용하고 계시는 분이라면 결합 상품으로 더 저렴하게 이용해 보세요. (결합 상품 가격 : 13,750원, KB나라사랑카드 제휴 가격 : 6,700원)
웨이브 (Wavve)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웨이브는 한국 드라마, 버라이어티 쇼, 라이브 스포츠등의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티빙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이용 가능하며, 한국어와 영어로 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한국 친화적인 플랫폼이라 오래된 고전 작품이 많이 있어 찾아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 단점 : 개인 적으로 웨이브는 많이 아쉽습니다. 신규 콘텐츠가 많이 나오지 않는 문제, 그리고 티빙에 비해서도 콘텐츠가 많이 부족합니다. 저라면 같은 가격에 티빙을 볼 것 같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현재로서 웨이브는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웨이브 대표 작품 : 약한 영웅, 청춘블라썸, 위기의 X, 트레이서, 너 미워! 줄리엣, 시작은 키스,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오월의 청춘, 좋아하면 울리는 짝! 짝! 짝! 등
네 번째 OTT 플랫폼 : 쿠팡 플레이 (coupang play)
쿠팡 플레이 이용 요금 :
- 쿠팡플레이+로켓와우 멤버십 : 월 4,900원 (계정 당 최대 5대 기기 등록, 2대 기기 동시 시청 가능)
참고 : 쿠팡 플레이는 로켓와우 개인 멤버십 회원에 한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혹시 결제 후 쿠팡 플레이만 이용 중이거나 로켓 와우만 이용 중인 분들은 꼭 두 서비스를 같이 이용하세요.
쿠팡 플레이 장점과 단점
- 장점 : 쿠팡 플레이는 한국 드라마, 버라이어티 쇼, 스포츠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요. 특히 예능 프로그램 SNL시리즈를 볼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요금도 월 4,900원으로 OTT플랫폼 중 가장 저렴합니다.
- 단점 : 저렴한 가격만큼 볼거리가 풍성하지는 않습니다. 현재로서는 쿠팡 로켓 와우 멤버십을 이용하지 않는 분들이라면 쿠팡 플레이만을 위해 요금을 결제하는 것은 권해 드리지 않습니다. 다만 쿠팡이 쿠팡 플레이에 1000억 원을 투자했다고 하는데요. OTT사업을 계속해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하니 앞으로의 행보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쿠팡 플레이 대표 작품 : 안나, 어느 날, 유니콘, SNL, 복학생 : 학점은 A지만 사랑은 F입니다, 미끼 등
다섯 번째 OTT 플랫폼 : 애플 TV (Apple TV)
애플 TV 이용 요금 :
- Apple TV 멤버십 : 월 6,500원 (7일 동안 무료 이용 후 요금 청구, 최대 5명 가족 간 공유 가능)
- Apple 기기를 구입했을 경우 : 90일 내에 무료 혜택 신청 가능 (3개월 동안 무료)
애플 TV 장점과 단점
- 장점 : 애플 TV는 모든 첫 이용자에게 7일 무료 체험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Apple 기기를 구매한 사람에게 3개월 무료 구독권을 제공하는 등 자사의 제품 구매자에게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요금은 6,500원으로 저렴한 편이며, Apple의 통합 요금제 Apple one을 사용하면 더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현재 볼 수 있는 작품은 적지만 퀄리티 높은 작품을 스트리밍 하고 있고, 20개가 넘는 애플 TV 오리지널 작품들을 제작 중이라고 하니 앞으로가 기대가 됩니다.
- 단점 : 너무 Apple에 친화적인 플랫폼이라는 점이 단점이며, 볼거리가 풍성하지 않다는 것도 큰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유명 배우, 감독, 제작자들과 계약한 작품들만 공개하는 등 양보다 질로 승부를 한다고 하는데요. 앞으로도 작품들이 빠르게 나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애플 TV 대표 작품 : 파친코, 제이컵을 위하여, DR. 브레인, 어둠의 나날, 용의자들, 샤이닝 걸스, 블랙 버드, 의사 그리고 나, 해방 등
여섯 번째 OTT 플랫폼 : 디즈니 플러스 (Disney +)
디즈니 플러스 이용 요금 :
- 디즈니 플러스 : 월 9,900원, 연 99,000원(연 구독 시 16% 할인)
디즈니 플러스 장점과 단점
- 장점 : 디즈니 플러스는 "디즈니,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기존 OTT 플랫폼과 완전히 다른 장르의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티빙이 한국에 친화적이라면 디즈니 플러스는 미국에 친화적인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월트 디즈니의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유일한 플랫폼이며, 마블의 영화부터 드라마 그리고 스타워즈 시리즈까지 정주행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디즈니 만화까지 있어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 훌륭한 선택이 됩니다.
- 단점 : 디즈니 플러스는 주로 디즈니 소유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만큼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요금 결제 후 한 달 안에 유명한 모든 콘텐츠를 볼 수 있었고, 그 후에는 볼 것이 없었습니다. 작품이 나오는 기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꾸준히 장기간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플랫폼입니다.
디즈니 플러스 대표 작품 : 카지노, 커넥트, 그리드, 마블 영화&드라마 시리즈, 스타워즈 시리즈, 디즈니 애니메이션 등
결론적으로..
결론적으로, 나에게 맞는 OTT 플랫폼 선택하는 데 있어 만능 설루션은 없다고 생각해요. 각 플랫폼은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선택은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저의 글이 선택함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저의 경우 요즘에는 넷플릭스와 티빙을 결제해서 보고 있고, 로켓 와우를 이용하고 있어서 쿠팡 플레이까지 보고 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와 애플 TV는 중요한 작품들을 다 보고 나니 더 볼 것이 없어서 현재는 끊은 상태입니다. 모두 다 결제할 수 없으니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똑똑하게 플랫폼을 선택해서 보시는 것을 권해 드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영화 혹은 드라마 리뷰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OTT 플랫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영웅 자선축구대회 쿠팡플레이 티켓 예매 (12) | 2024.09.06 |
---|
댓글